생활 정보/요리, 레시피

3대째 내려온 밥도둑✨ 파김치 이렇게 담그면 밥 한 공기 순삭!

Yellow link 2025. 3. 28. 16:58
반응형

저희 집은 할머니 때부터 내려오던 ‘3대째 파김치 레시피’가 있어요. 그냥 파김치가 아니라, 밥 한 공기 뚝딱 사라지는 제대로 된 밥도둑! 이번에도 봄대파가 싱싱하길래 엄마와 함께 담갔는데, 그 맛을 잊을 수 없어서 여러분께도 공유하려고 해요.


알싸함, 감칠맛, 짭조름한 양념까지 조화로운 파김치 제대로 담그는 법,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목차

  1. 파김치, 어떤 파로 담가야 할까?
  2. 우리 집 파김치 재료 소개
  3. 3대째 내려온 파김치 담그는 법
    3-1. 파 손질과 절이기
    3-2. 양념장 만들기
    3-3. 파와 양념 버무리기
  4. 숙성 팁과 보관 방법
  5. 실제 먹어본 후기
  6. 결론


파김치 레시피
파김치 레시피

1. 파김치, 어떤 파로 담가야 할까?

파김치 맛을 좌우하는 건 사실 ‘파’의 종류예요.
우리 집은 봄에 나오는 실한 ‘쪽파’나 연한 ‘조선대파’로 담가요.

  • 대파보다는 연하고 부드러워야 양념이 잘 스며들고
  • 익어갈수록 아삭하면서도 풋내 없는 깊은 맛이 납니다.

TIP: 초봄~초여름엔 쪽파, 그 외 계절엔 조선대파 추천!


2. 우리집 파김치 재료 소개

재료양
쪽파 1단 (약 1kg)
굵은 소금 2큰술
고춧가루 1컵
멸치액젓 5큰술
새우젓 1큰술
다진 마늘 3큰술
다진 생강 1작은술
매실청 2큰술
찹쌀풀 1컵 (찹쌀가루 1큰술+물 1컵 끓이기)
통깨 약간 (선택)

3. 3대째 내려온 파김치 담그는법

3-1. 파 손질과 절이기

  1. 파는 뿌리와 누런 잎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기
  2. 굵은 소금을 파 줄기에만 가볍게 뿌려 절이기 (약 30분)
  3. 물에 한 번만 살짝 헹군 후 체에 받쳐 물기를 빼주세요

✅ 팁: 절이는 시간을 너무 길게 하면 숨이 죽고 질겨져요!

3-2. 양념장 만들기

  1. 고춧가루 + 마늘 + 생강 + 새우젓 + 액젓 + 매실청
  2. 찹쌀풀 식혀 넣기
  3. 걸쭉하면서도 고루 퍼질 정도로 섞어둡니다

✅ 우리 집은 매실청을 꼭 넣어요. 감칠맛과 단맛이 확 살거든요.

3-3. 파와 양념 버무리기

  1. 파를 한 줄씩 양념으로 감싸듯 바르며 버무립니다
  2. 너무 세게 문지르면 풋내가 나므로 조심스럽게
  3. 통에 차곡차곡 눕혀 담고 상온 하루 숙성 후 냉장보관

4. 숙성 팁과 보관 방법

  • 상온 1일 + 냉장 숙성 2~3일 후 먹으면 양념이 속까지 배어 최고!
  • 김치통 바닥에 국물이 생기기 시작하면 제맛이 난다는 신호
  • 한 달 이상 두어도 아삭함 유지되며, 묵은 파김치로 국 끓이면 그 또한 별미예요.

5. 실제 먹어본 후기

올해도 엄마랑 파김치 담그고 하루 지나 바로 맛봤는데, 그 알싸한 파향과 감칠맛 조화가 미쳤습니다.
삼겹살에 싸 먹어도, 흰쌀밥에만 올려도 밥 두 공기 가능이에요.
특히 익었을 때 생기는 국물까지… 설렁탕, 콩나물국이랑 먹으면 끝판왕입니다.


결론

파김치는 간단하지만 재료 선택, 절이기, 양념 배합에서 한 끗 차이로 맛이 달라져요.
우리 집은 3대째 내려온 이 레시피로 봄이면 꼭 파김치를 담그고, 그게 어느새 집안의 작은 전통이 됐어요.
직접 담가보시면 이유 있는 밥도둑이란 걸 확실히 느끼실 거예요!



 

고구마🍠 이렇게 삶으면 껍질 쏙!✨ 먹기 편한 비법 공개

그냥 삶기만 하면 손이 많이 가고 번거로운데, 오늘 알려드릴 방법은 껍질까지 쏙 빠져 먹기 편한 비법입니다.이제 고구마 삶기, 어렵지 않게 완벽하게 해 보세요!목차고구마 삶기 전에 알아두

yellowlink.tistory.com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법✨ ‘이것’ 넣으니 시원하고 감칠맛 폭발!

슬슬 더워지네요. 입맛 살려주는 열무얼갈이김치, 시원하고 감칠맛 도는 국물까지 제대로 살리려면 '이것' 하나가 포인트예요. 저도 매년 여름마다 담그는데, 작년부터 이 재료를 넣기 시작하면

yellowlink.tistory.com

 

전기포트에 '숟가락' 넣고 끓였더니 생긴 놀라운 변화! 실험 후기 공개✨

전기포트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내부에 하얗게 들러붙는 물때(석회질) 때문에 찝찝하셨던 분들 많으시죠? 저도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전기포트를 청소해도 희끗희끗한 자국이 쉽게 없어지지 않

yellowlink.tistory.com

 

설렁탕집 석박지, 집에서도 이렇게 담그면 똑같아요!🥬

설렁탕 먹을 때 꼭 곁들여야 제맛인 그 시원하고 아삭한 섞박지, 집에서도 똑같이 만들 수 있을까요? 저도 처음엔 어려울 줄 알았는데, 몇 번의 실패 끝에 이제는 가족들 모두가 찾는 김치가 됐

yellowlink.tistory.com

 
 
반응형